10

ORCID(연구자 고유 식별코드)가 연구논문 출판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ORCID의 영향력이 학계에서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저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과학연구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학술지와 지원 기관이 모든 제출자를 대상으로 ORCID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ORCID는 오픈 사이언스로 발전하는 트렌드 속에서 CrossRef, h-인덱스, 저널 임팩트 팩터 만큼 중요한 요소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의 투명성, 가시성, 검색성, 상호 연관성 등을 높여 오픈 사이언스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CrossRef나 h-인덱스와 같이 ORCID도 연구논문 출판의 지형을 변화시킬 잠재력이 크고 연구자의 인지도를 높이는데도 기여합니다.

 

저자 식별의 어려움

글로벌 연구환경에서 동일한 이름을 가진 연구자를 명확히 구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2011년, 네이처 지의 조사에 따르면, Y. Wang이라는 이름으로 게재된 논문이 3,926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오픈액세스가 확산되면서 인용 소스의 저자명을 정확하게 찾기도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1월, 8개 주요 저널 출판사가 저자의 ORCID ID 사용을 의무화했습니다. 또한, CrossFef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과 통합되며, 확실한 연구자 식별 기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ORCID는 2010년부터 사용되었지만, 2016년에 와서야 주류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PLOS, Science, Royal Society 등 주요 출판사가 모든 논문의 제출시 ORCID 사용을 의무화를 공지하면서, 사용 저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ORCID의 작동 원리

ORCID는 “공개 연구자 및 기여자 ID”를 의미합니다. 우선, 각 연구자 이름 옆에 독자적인 영문자와 숫자를 합성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모든 연구활동에 이 코드가 등록됩니다. 2015년 이후 ORCID는 CrossRef와 DataCite에 의해 자동 업데이트 되어 왔습니다.

 

특정 연구자가 저널에 인용되거나, 데이터셋을 출간하거나 펀딩을 받는 등 다양한 연구활동을 수행할 때, 부여된 ID에 따라 ORCID에 자동으로 기록됩니다. 이 기록에는 연구활동뿐만 아니라 연락처, 소속기관 등 다른 정보도 함께 저장됩니다. 연구자는 ORCID ID를 신청하면 바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 인지도 제고

대학과 연구소는 각 기관 소속 연구자를 쉽게 온라인 상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대학 홈페이지, 저널용 프로파일, 펀딩기관 계정, 개인 웹사이트 등 다양한 프로필과 웹페이지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는 학계에 알리고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연구자 개인의 경우는 좀 다릅니다. 다양한 복수의 플랫폼에 프로필이 분산됨에 따라 인지도나 관심도도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저널 임팩트 팩터나 h-인덱스는 과학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지만, 많은 비판을 받고 있으며, 신참 연구자에게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ORCID는 모든 연구자가 다양하게 분산된 연구활동을 하나의 틀에 통합하여 저장하도록 해 줍니다. 이로 인해 연구자의 인지도도 높아지고 외부 노출 빈도도 높아집니다.

 

ORCID는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자 인지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연구자의 이름이  평범하여 동명이인의 연구자가 많은 경우, 개명하는 경우 등의 경우에도 연구 기록, 성과, 경력, 펀딩 사례를 인정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미래에는 ORCID를 통해 위키피디아 편집활동이나 연구논문에 기재되지 못한 활동, 블로그 코멘트 등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다른 온라인 활동까지 모두 반영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ORCID를 통해 모든 연구활동을 아울러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X

회원가입 후 더보기

무료로 보실 수 있는 기사 횟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구독하시면 논문작성
및 저널 출판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횟수제한 없이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 500개 이상의 출판뉴스
  • 50개 이상 웹세미나
  • 10개 이상 전문가 진행 팟캐스트
  • 10개 이상 이북
  • 10개 이상 체크리스트
  • 50개 이상 인포그래픽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

대학교 입장에서 연구 및 학문 글쓰기 AI도구 활용에 대한 의견을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