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정보의 바다에 익사하지 않고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하기 Feb 12, 2019 정보 과다 또는 정보 과잉이란 용어는 1964년 Hunter대학의 정치학 교수였던 Bertram Gross 박사에 의해 조어되어 “The managing of…
심포지엄식 발표 연구발표 질의응답 시간을 적절히 활용하기 Feb 12, 2019 학회에서 연구발표를 끝내고 나면 언제나 이루어지는 마지막 단계가 바로 질의응답 시간입니다. 열심히 준비해서 연구발표를 잘 마친 발표자들도 자신이 발표한 내용이나 의견에 대한…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청중 중심의 연구 발표 Dec 11, 2018 효과적인 파워포인트 제작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까지 연구 발표 준비에는 많은 단계가 있습니다. 프레젠테이션 제작에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많고 다양합니다.…
네트워킹 및 공유 학술회의 참석을 최대한 활용하기 Dec 11, 2018 학생이나 연구자 누구에게든, 학술회의 참석은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연구 공유, 새로운 주제에 대한 학습, 동료 연구자와의 만남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박사 후 과정 중 독립적으로 연구하는 법 Dec 11, 2018 박사 후 과정은 일시적인 학술 연구에 종사하는 박사 학위 소지자를 일컫습니다. 이 연구는 박사 후 고문 또는 수석 연구원이라고 불리는 멘토의 감독하에 수행되는 과정입니다.…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여비 보조의 중요성: 신입 연구원의 희망 및 디딤돌 Nov 14, 2018 국제 협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배경을 가진 연구원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토론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더욱더 창의적이고…
연구 결과 홍보하기 산업체 연구직 지원을 위한 이력서 쓰기 팁 Nov 14, 2018 많은 젊은 연구자들이 박사학위 취득 막바지에 이르면 마땅한 진로를 선택하는 시험대에 직면하게 됩니다. 학술계 연구가 모든 사람에게 매력적이진 않기 때문에, 일부의 연구자들은 때때로…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효율적인 국제협력 공동연구를 이루고 유지해 나가기 위한 5가지 팁 Oct 15, 2018 현대 과학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반적인 추세로 각각 다른 나라에 기반을 두고 있는 과학자들 간의 국제적인 협력 공동연구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연구단체나 연구기관이라…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대학원생에게 필요한 훌륭한 멘토란? Sep 27, 2018 연구가로서 과학 연구는 많은 연구원들과의 협력과 협동을 필요로 합니다. 연구원들 중에는 책임 연구자 외에도 흔히 포닥(박사후 과정: Post-Doctor)이라고 불리는 연구원,…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학술 이력서를 잘 쓰는 7가지 방법 Sep 4, 2018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에 익숙한 한국에서는 CV (Curriculum Vitae)의 개념이 낯설 수 있습니다. CV는 본인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를 A4 한 장 내외로 기술한…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성공적인 학술 컨퍼런스 / 워크샵 준비 방법 Jun 25, 2018 컨퍼런스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모으고 특정 주제와 관련된 쟁점과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는 토론의 장입니다. 컨퍼런스는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서 개최될 수 있으며, 그…
박사 과정 학생의 위한 팁 연구 발표를 위한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만들기 Jun 15, 2018 시각 정보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정보의 제시 방식에 따라 정보의 습득 정도가 달라질 정도로 데이터를 어떻게 포장해서 전달하는 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하물며 복잡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