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바이오그래피 쓰는 방법-파트1
[바이오그래피란 무엇인가요? ]
간단하게 말하자면 학술 바이오그래피( Academic Biography) 즉 학술 전기는 저자 자신의 개인 및 전문 연구분야의 사항을 설명하는 소개글입니다. 상세한 내용이 담긴 긴 바이오가 있는가 하면 간결하고도 짧은 바이오도 있습니다.
[바이오는 언제 사용되나요?]
저자의 논문 원고가 저널로부터 접수되였을 경우 저자의 바이오를 제공할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인 학술대회나 이벤트에서 발표를 하게 된다면 주최자가 바이오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좋은 바이오그래피 쓰는 방법은?]
일단은 저자의 성명, 현재 직함(예를 들어서 교수, 박사과정 학생), 학교, 관심사 및 현재 프로젝트에 (구체적인 예와 함께) 대한 간략한 소개로부터 시작합니다. 그다음에 수상 경력(있는 경우) 및 업적을 나열해줍니다.
[바이오그래피에 포함시키지 말아야 할 내용]
첫번째로, 일단 너무 사적인 정보를 제공하 거 난 캐주얼한 톤으로 바이 오을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저널이나 주최자가 특히 명시하지 않는 한 제1인칭의 서술방식을 삼가야 합니다.
예를 들면:
| I am currently a PhD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Warwick.
| Roy Kim is currently a PhD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Warwick.
두 번째 문장이 적절합니다.
두번째로, 정보의 양(많고 적음)은 바이오그래피의 편폭에 의해 결정됩니다. 긴 편폭일수록 정보를 더 많이 포함할수 있고 짧을수록 상세한 정보를 다 나열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아주 간단하고 짧은 바이오그래피 (35-50 좌우의 단어)는 간행물과 회의 진행자로부터 많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 이름
- 현재 직함(예를 들어서 교수, 박사과정 학생 등)
- 연구기관이나 학과
- 관심이 있는 연구 분야
중간 길이의 비이오그래피 (100-200 좌우의 단어)에서는 더 많은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수 있습니다.
- 갖고 있는 학위
-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 주목받을만한 수상경력
- 출판물
- 논문 게시의 저널 이름 또는
- 더 큰 연구분야에 대해 말할 수도 있습니다.
긴 바이오그래피 (200-400 단어)는 개인적인 전문 사이트에서 볼수 있는 정보를 추가할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취미, 또는
- 개인 배경에 관한 정보 (특히 연구 관심 분야와 관련이 있는 경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코멘트는 닫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