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작성 시, 수치 및 단위의 과학적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기
과학 논문 작성시 무게, 길이, 부등호 등 각종 수치와 단위를 정확히 표기하는 것은 얼마나 중요할까요? 예를 들어 면접을 보러 가는데 정장에 운동화를 신고 간다면 면접관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 주기 어렵습니다. 어쩌면 이로 인해 처음부터 합격 후보자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습니다. 즉, 논문에서 수치 및 단위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한다면 논문 게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 논문 작성시 수치 및 단위의 올바른 표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아래 사항들을 기본적으로 따르되, 투고할 저널이 요구하는 형식에도 맞춰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시>
- “지구의 나이는 약 4,600,000,000세이다.”
→ 0이 여래 개일 경우 세자리 마다 쉼표를 찍어 표시합니다.
→ 보다 전문적인 표기 방법은 “4.6 X 109 yrs 혹은 4.6E9 yrs”입니다.
- “ 0.00000000000000000000000000166 %의 확률”
→ 소수점 이하 자리는 쉼표를 찍지 않습니다.
→ 보다 전문적으로 표기 방법은 “1.66 x 10-27”입니다.
- “167.5 cm < 나의 키 < 168.5 cm” vs “167.005 cm < 나의 키 < 168.005 cm”
→ 후자의 표기 방식에서 데이터가 더욱 정밀하게 측정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유효 숫자 (Significant Figures)란? 소수점 이하 자릿수 표기를 위해 넣은 0을 제외한 숫자만을 뜻합니다.
– 예: 4900m=90×103m → (유효 숫자 3자리 수)
– 예: 4900m=900×103m → (유효 숫자 4자리 수)
– 예: 0.0490m=9×10-2m → (유효 숫자 3자리 수)
– 예: 0.0490m=9×10-2m → (유효 숫자 2자리 수)
- “168 lbs x 453.5923 grams/lb = 76203.5064 grams”
→ 무게의 단위 파운드(lb)를 그램(g)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표기 방식입니다.
- “5.324 + 6.8459834 + 3.1”
→ 더하기(+)와 빼기(−) 등 계산 표기시 앞 뒤로 공간을 둡니다.
- ~ 초과 표기시: Greater than, over, above 등 사용
- ~ 미만 표기시: less than, below, under 등 사용
- ~이상 ~이하 (~초과 ~미만) 표기시:
→ or, and (or above, and above, or below 등)으로 표시하거나
→ or equal to (greater than, or equal to)으로 표시
- 세로 계산 표기:
1600
+ 200
1800
- 단위별 기호 표시 방법
종류 | 단위 | 기호 |
무게 | Kilograms | kg |
길이 | Meters | m |
부피 | Liters | L(대문자) |
시간 | Seconds | S |
전력 | Ampere | A(대문자) |
온도 | Kelvin, Celsius | K(대문자), C(대문자) |
밝기 | Candela | cd |
위의 예시들과 같이 수치, 단위, 기호 등을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표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그렇지만 논문 작성 시 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신뢰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무엇보다 투고할 저널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때 성공적인 논문 출판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갈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코멘트는 닫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