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헷갈리는 논문출처 표기법에대해 하나부터 열까지 상세하게알려드릴 학술논문 및 영문교정전문 ISO 인증기업이나고 입니다.논문을 작성 과정 중에연구자들이 가장 많은 실수를 할 때가 바로 논문출처를표기할 때가 아닐까 생각되는데요.논문인용이 필수적으로이루어지는 연구 논문의 특성상올바른 논문출처 표기법을 준수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논문에 자신의 아이디어가아닌 타인의 연구 자료를 인용했다면논문출처를 정확하게 표기하는 것은너무나도 당연한 일이겠죠.만약, 논문출처 표기를정확히 하지 않게 되면 표절의조건이 성립될 수 있어 더욱 더주의 깊게 살펴야 하는부분이기도 한데요.학계에서 표절은 의도적인 표절도있지만 잘못된 논문출처 표기로억울하게 표절 의혹을 받는 경우도많습니다.따라서 표절로 간주되지않기 위해서는 논문출처 표기에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요.올바른 논문출처 표기는표절 문제를 피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원저자에 대한 기본적인예의로써 반드시 준수하여작성해야만 합니다.모든 저자들이바람직한 방법으로 논문출처를표기하기를 바라면서 오늘은올바른 논문출처 표기법에 대해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하겠습니다.
1. 자료 구분논문은
글의 양이 많다는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논문을 한번이라도 작성해본분이라면 어떤 분야든 방대한 양의자료가 수집된다는 것을알고 계실 텐데요.많은 양의 정보는 저자가논문을 섬세하게 작성할 수 있는유용한 거름이 되지만, 관리가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자신의 논문에 도움이될 것 같은 자료를 정신없이수집하다 보면 논문의 어떤 부분에어떤 자료를 사용하려 했었는지잊어버리거나 또는 논문의 출처가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할가능성이 높은데요.
이는 만만치 않은 양의정보를 수집하다 보면 겪게 되는불가피한 상황입니다.하지만, 방법이 없는 건 아니죠.정보량에 압도 당하지 않으려면꼼꼼하게 메모하는 습관과논문 작성에 대한 전체적인 계획을잡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논문자료를 수집하며메모를 할 때는 어떻게 인용해야하는 지를 메모하는 것이 좋은데요.그 이유는 자료를 관리하는 과정에서인용을 빠트리게 되면 논문이 표절 혐의로 제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대한 양의 자료를인용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있는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수집한 자료를 1차 자료와2차 자료로 분류하는 것인데요.대부분의 연구원들이수집하는 자료는 1차 자료와2차 자료로 구분됩니다.이를 구분하는 방법은저자가 직접 경험한 것인지아닌지만 판단하면 되는데요.1차 자료의 특징부터먼저 살펴보자면,1차 자료는 다른 자료를통해 얻은 자료가 아닌 저자가직접 경험하고 만들어낸 이론을설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주로 이전에 출판되지 않은새로운 자료를 사용하는 것인데요.대표적인 예로 설문조사나인구 조사, 경제적 통계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2차 조사는저자가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닌다른 저자가 얻은 데이터를 의미하는데요.2차 자료의 가장 흔한 예는학술 논문을 생각하시면 됩니다.이렇게 1차 자료와 2차 자료의특징에 대해 숙지하고 있다 하더라도구별하기 어려운 예외적인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이런 경우, 아래 기준을참고하여 1차 자료와 2차 자료를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저자가 세부적인 연구 상황을 알게 된 방법
2) 지식을 얻어낸 방법
3) 결론을 낼 때 도움을 받았는가?이 세가지 기준의 관점에서자료를 바라보면 충분히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수집한 자료를 1차 자료와2차 자료로 나누어 관리하는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1차 자료는 저자의 직접적인 경험을통해 도출된 연구결과이기때문에 별도의 논문출처 표기가 필요 없지만,2차 자료는 타저자의 경험을빌려오는 것으로 반드시논문인용을 하셔야 한다는 것을명심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각 저널 마다요구하는 논문출처 표기법이다르기 때문에 어떤 기준에맞춰 작성해야 하는지 다소헷갈릴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가장 흔하게사용되고 있는 인용 양식은어떤 양식인지 간단하게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인용 양식
1) ChicagoChicago 스타일은저자-날짜와 저자이름, 출판 연도,페이지 번호를 괄호 안에 작성합니다.
2) MLAMLA의 논문출처 표기법은특별한 인용 스타일이따로 없는데요.인용한 2차 자료의 저자 이름과출판 연도 및 페이지 번호를괄호 안에 작성하기만 하면 됩니다.
3) APAAPA 논문출처 표기법은일반적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주로 사용되는 스타일인데요.이 스타일의 경우,일반적인 논문인용 스타일과차이점이 있는 게 우선적으로참조 문헌으로 읽은 자료를모두 포함시켜야 한다는 점입니다.2차 자료의 저자 이름과 출판 연도,페이지 번호를 괄호 안에작성한다는 점은 앞서 언급한인용 양식들과 동일 한데요.이 때, 만약 원저자의 이름까지알고 있다면 문장에 저자의이름을 함께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이렇게 가장 유용하고 또저자들 사이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3가지 인용 양식에 대해 간단하게알아보았는데요.
앞서 말했듯, 저널마다요구하는 인용 양식에 차이가크기 때문에 양식을 선택하는 것에있어서 정답은 없습니다.만약 논문출처 표기를꼼꼼히 확인할 수 있는 시간적여유가 부족하다면, 동료나 선배에게조언을 구하거나 전문업체를통해 논문교정을 맡기는 방법이 있는데요.논문교정 전문업체이나고는 저자의 원고가올바른 논문출처 표기법을 사용해작성되었는지 검토하는 것을 포함하여고품질의 논문교정서비스를 통해논문의 전체적인 품질을향상시켜 드립니다.
필요에 따라 저널 선정,피어 리뷰, 표절 검사, 저널포맷팅,투고 대행, 재투고 지원 서비스도추가적으로 선택 가능하니논문 준비과정에 어느 하나라도어려움이 느껴지는 부분이있다면 저희 이나고를찾아주시길 바랍니다.이나고는 고객과의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최상의 논문 품질을 만들어드릴 것을 약속합니다.

영어논문해석 전문가에게 맡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