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BE 보고지침을 활용하여 의생명과학 연구 보고를 개선하는 법

의생명과학 연구는 관찰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뢰성과 유용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모든 관찰을 신중하게 수행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보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04년에 다양한 나라의 의학 연구자, 방법론 전문가, 통계학자, 저널 편집자로 구성된 그룹이 한 자리에 모여 이틀간 워크숍을 갖고 이후 여러 차례의 후속 회의와 이메일 토론을 거친 끝에 STROBE의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STROBE는 관찰연구에서 정확하고 탄탄한 보고가 응당 포함해야 할 주요 사항을 정리한 체크리스트입니다.

STROBE 보고지침

이 그룹은 경험적 증거와 방법론적 측면을 고려하여 여러 차례의 수정 작업을 거듭한 끝에 의생명과학 분야의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또는 단면 조사 연구에서 관찰 결과를 보고할 때 원고의 각 부분(제목, 초록, 서론, 방법, 결과 및 토론)이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22개 항목을 수록한 관찰연구 결과 보고지침(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STROBE)을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지침은 랜싯(The Lancet)과 영국의학저널(The British Medical Journal, BMJ)을 비롯한 많은 주요 저널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과학 출판에서는 투명성이 매우 중요하지만, 안타깝게도 의생명과학 논문에서 중요한 정보가 누락되거나 불분명한 경우를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적절한 가이드라인이 있으면 연구자의 보고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1996년에 개발된 임상시험 보고 통합기준(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 CONSORT) 보고지침의 도입으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이 혜택을 받은 경우도 이에 해당합니다.

가이드라인

STROBE 보고지침의 개발자들은 개발 의도가 관찰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뿐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연구를 설계하거나 수행하는 방법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관찰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STROBE 보고지침에 나열된 항목은 논문에서 빠짐없이 정확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를 수행하는 순서와 형식은 저자의 선호도와 해당 논문이 발표되는 저널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체 체크리스트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목 및 초록(1번 항목): 연구의 설계를 적시해야 하며, 수행한 내용과 발견한 내용에 대한 명확한 요약을 제공해야 합니다.
  • 서론(2~3번 항목): 서론에서는 연구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연구의 목적을 명확하게 명시해야 합니다.
  • 방법(4~12번 항목): 이 섹션에서는 연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해야 하며, 이러한 설명은 연구 설계 및 규모, 장소, 참가자, 데이터 수집에 사용한 절차, 잠재적 교란 요인, 가능한 편향 요인, 통계적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 결과(13~17번 항목): 참가자의 수와 특성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수행한 모든 분석에 대한 보고와 더불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해야 합니다.
  • 토론(18~21번 항목): 연구의 목적에 따라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해석해야 합니다. 연구의 한계와 범용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기타 정보(22번 항목): 연구 자금 출처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야 합니다.

STROBE 보고지침의 한계와 확장

현재 STROBE는 세 가지 주요 관찰연구 설계(코호트, 환자-대조군, 단면 조사)로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지만, 유전자-질병 연관성 연구 등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하기 위한 확장 버전이 개발 중입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STROBE 보고지침은 많은 연구자, 편집자, 방법론 전문가들의 최신 의견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며 수정해야 하는 하나의 발전 중인 문서로 보아야 하겠습니다.

X

회원가입 후 더보기

무료로 보실 수 있는 기사 횟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구독하시면 논문작성
및 저널 출판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횟수제한 없이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 500개 이상의 출판뉴스
  • 50개 이상 웹세미나
  • 10개 이상 전문가 진행 팟캐스트
  • 10개 이상 이북
  • 10개 이상 체크리스트
  • 50개 이상 인포그래픽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

다음 중 학술 글쓰기에서 AI 기반 도구를 사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