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어권 저자들을 위한 학술 논문출간 영문교정 서비스
월~금 09 : 00 ~ 18 : 00

Global Reach

번역샘플 - 한영 번역

품질 및 시기 적절한 투고물을 제공하는 것은 급선무로 특히 조절 의뢰의 경우 더욱 필요하다.

이나고는 주제별 전문가 리뷰어, 번역가, 저자, 교정자로 이루어진 특별한 팀과 함께 더불어 귀하의 언어로 24 시간 전문 프로젝트 관리자를 제공함으로써 정시에 고품질의 투고물을 제공합니다. 저희는 단어 대 단어 번역을 뛰어 넘어 최첨단 기술과 엄격한 프로세스를 통해 귀하의 주제 영역의 뉘앙스까지 살린 고품질 번역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저희의 우수한 번역본의 샘플들입니다.

사회과학, 인문학 관련 학과


이 논문에서 고찰한 인문학의 철학적 심리학적 근거들을 토대로 구안한 도덕과 교수 학습모형으로는 인문학적 상상을 통한 도덕적 추론 학습 모형, 공동추론을 통한 도덕적 대화 학습 모형, 분별 있는 관찰자 되어 보기를 통한 합리적 감정 학습모형, 소크라테스식 논쟁을 통한 비판적 사유 성찰 학습 모형, 디지털 인문콘텐츠 활용 학습 모형이 있다. 이를 통해서 단지 진부한 관념 차원의 도덕학습이 아니라 학생들이 능동적인 학습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도덕 수업에 참여하고 바람직한 인격과 정의로운 시민의 자질을 도야할 수 있는방법적 태도를 익히며, 인문교양요소들이 포함된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써도덕성을 체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에서는 인문학의 개념과 본질에 근거하고 도덕과교육과 인문학의 관계성을 따져 이들 간 학제적 연구의 타당성을 논증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인문학을 활용한 도덕과 교육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히 밝히고자 함은, 도덕과 교육과 인문학이 많은부분에서 친화적이고 연계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논문의 궁극적 의도를 ‘도덕과 교육은 학문적 영역에 있어 인문학 속으로 편입되어야 한다’ 거나 도덕과 교육은 전적으로 ‘인문학화' 되어야 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는 점이다. 도덕과 교육은 고유의 학문적 성격과목표, 교육과정의 체계를 갖고 있으며, 인문학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교과교육학적 특징과 차이점을 갖는다. 이 논문이 의도하는 바는 도덕과 교육이보다 도덕과 교육다운 학문적 체계와 정체성을 확립하여 온전해지길 바라는 것이며, 다만 이러한 맥락에서 도덕과 교육이 문학, 역사, 철학, 예술 등의 인문학을 교과내용 및 방법 면에서 적극 활용한다면 보다 온전한 도덕과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타교과 내지 인문학과는 차별화되는 ‘도덕과 교육’의 고유한 성격과 정체성을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도덕과는 인문학을 통하여 보다 ‘도덕과 다운’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A native translator who is also a subject expert translates the original document

This article discusses teaching-learning models for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 of humanities.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cludes a learning model for moral reasoning through humanistic imagination, a learning model for moral dialog through collaborative reasoning, a learning model for rational emotions as judicious spectator, a learning model for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Socratic method, and a learning model through digital contents on humanities. Such new approaches could enhanc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s active learner in moral education beyond abstract approaches to mundane morality. Furthermore, the new approaches could allow students to learn methodological attitudes to develop appropriate personality and citizenship as well as to embody morality as a more extended concept including humanistic elements.

As aforementioned above,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and essence of humanities, argues the valid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relevance between moral education and humanities. Building on the argumentation, the study proposes an improvement plan for moral education through humanities. However, one thing to be clear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education and humanities are affiliated and connected in many ways, the proposal should not lead to wrong interpretations: ‘Moral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humanities as one academic field,’ or moral education should ‘completely depend on the humanities.’ Moral education has its unique academic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urriculums, possessing pedagogic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which are clearly distinct from the humanities. This study is aimed to perfect moral education by appropriate disciplinary system and identity. In this regard, the study further shows that moral education can be perfected by using humanities such as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in the content and curriculum. Consequently, the new approaches could more clear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moral education,’ distinct from humanities or other disciplines. Use of humanities could ‘perfect’ moral education.

The translated document is then checked by a cross checker for any translation errors


Comments

감수자-누락 및 문법오류:문법 정확성 개선을 위해 누락된 부분을 추가 감수자-중복:중복을 피하여 더욱 유창한 문장을 만들기 위해 수정 감수자-단어 선택:더욱 적합한 단어로 수정 감수자-정확성:문법적 정확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유창성:언어적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반복오류:단어 “active”의 반복 사용을 피하고 문법적 정확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문법오류:문법적 정확성과 명료성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누락:누락 된 부분을 추가 감수자-단어 선택:더욱 적합한 단어로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문법 오류:" aforementioned "은 보통 형용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법적 정확성 개선을 위해 수정함 감수자-문법과 유창성:문법적 정확성과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과 단어선택:명료성 개선과 더욱 적합한 단어의 사용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수정 감수자-간결성:간결성과 가독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단어 선택:더욱 적합한 단어로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문법오류:문법의 명료성 개선을 위해 "curriculum"의 복수형을 사용함 감수자-유창성과 간결성:유창성과 간결성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가독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유창성:유창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

The cross checked document is then reviewed by an editor who improves the language to ensure better flow


Comments

원어민 에디터-구두법:구두법의 명료성을 위해 수정이 이루어짐. 영어에선 두 용어 사이의 동등한 관계를 나타낼 땐 대시 대신 하이픈을 사용 원어민 에디터-구두법:구두법의 명료성을 위해 수정이 이루어짐. 콤마 이하의 정보가 필수적일 경우 콤마는 필요하지 않음 감수자-누락 및 문법오류:문법 정확성 개선을 위해 누락된 부분을 추가 원어민 에디터-간결성:반복을 피하고 간결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중복:중복을 피하여 더욱 유창한 문장을 만들기 위해 수정 감수자-단어 선택:더욱 적합한 단어로 수정 감수자-정확성:문법적 정확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유창성:언어적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반복오류:단어 “active”의 반복 사용을 피하고 문법적 정확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원어민 에디터-간결성:간결성과 가독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문법오류:문법적 정확성과 명료성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누락:누락 된 부분을 추가 감수자-단어 선택:더욱 적합한 단어로 수정 원어민 에디터-가독성:가독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문법 오류:" aforementioned "은 보통 형용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법적 정확성 개선을 위해 수정함 감수자-문법과 유창성:문법적 정확성과 유창성 개선을 위해 수정 원어민 에디터-명료성:명료성과 가독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과 단어선택:명료성 개선과 더욱 적합한 단어의 사용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수정 감수자-간결성:간결성과 가독성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단어 선택:더욱 적합한 단어로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 개선을 위해 수정 원어민 에디터-구두법:미국식 영어 규범에 따르도록 수정 감수자-문법오류:문법의 명료성 개선을 위해 "curriculum"의 복수형을 사용함 원어민 에디터-단어선택:미국식 영어 규범에 따라 단어를 수정 감수자-유창성과 간결성:유창성과 간결성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가독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명료성:명료성과 가독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 감수자-유창성:유창성의 개선을 위해 수정 원어민 에디터-가독성:가독성 개선을 위해 수정

The final document is then delivered to client

This article discusses teaching–learning models for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 of the humanities. The teaching–learning model includes a learning model for the following: moral reasoning through humanistic imagination, moral dialog through collaborative reasoning, rational emotions as a reasoning spectator,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Socratic method, and digital humanities content. These new approaches could enhance students’ participation as active learners in moral education beyond abstract approaches to mundane morality. Furthermore, these new approaches could allow students to learn and adopt methodological attitudes to develop appropriate qualities and citizenship as well as to embody morality, including humanistic elements, more extensively.

A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concept and essence of the humanities, this study argues for the releva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moral education and the humanities. Building on this argument, the study proposes a plan of improvement for moral education through the humanities. However, to be clear, despite the fact that education and the humanities are affiliated and connected in many ways, the proposal should not lead to erroneous interpretations such as “moral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humanities as one academic field,” or that “moral education should completely depend on the humanities.” Moral education has its unique academic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urricula, possessing pedagogic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at are clearly distinct from the humanities. This study aims to perfect moral education using an appropriate disciplinary system and ident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further shows that moral education can be perfected by using humanities such as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in the content and curriculum. Thus, these new approaches could more clear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being distinct from the humanities or other disciplines. The use of the humanities could “perfect” moral education.

번역 견적 문의
고객상담월- 금 09 : 00 ~ 18 : 00
24시간  견적의뢰 가능 (일요일 제외)